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가상 사설망이라고 불린다.
사실 VPN은 막힌 사이트(포르노) 뚫기용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도 맞긴 맞다.
하지만 금융 기관이나 일부 회사에서도 사내 접속용으로 VPN을 사용한다.
시작하기 앞서 필자의 글이 이해가 안 된다면 각 회사의 설명 페이지도 꽤 도움이 된다.
ExpressVPN: https://www.expressvpn.com/kr/what-is-vpn
NordVPN: https://nordvpn.com/ko/what-is-a-vpn/
Surfshark: (이용사례) https://surfshark.com/ko/use-cases
VPN을 사용하게 되면 터널이 하나 뚫린다. (도로에 있는 그 터널)
모든 앱 또는 특정 앱의 모든 통신이 저 터널로 통신되는데 저 터널이 암호화되어있어 해커나 정부,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KT, SK, U+)가 들어다 볼 수 없게 한다. (그래서 공용 와이파이가 아무리 털렸다 하여도 VPN 쓰면 안전하다.)
그래서 일본으로 우회한다면 일본까지 터널이 하나 뚫리는 것이고 나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정부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내가 일본까지 터널을 뚫어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내용물을 볼 수 없다.
단, 최신 암호화 기술과 OpenVPN을 사용했을 때 말이다. (ExpressVPN, NordVPN, Surfshark등과 같은 대부분 유료 업체들은 OpenVPN을 사용한다)
이전 방식은 PPTP와 같은 VPN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건 보안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볼 수 없다.
그러면 아무 VPN이나 써도 안전할까요?
VPN을 제공하고 판매하는 업체는 진짜 많다.
당장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앱 스토어에 VPN만 검색해도 수많은 앱이 쏟아져 나온다.
그런데 우리는 의심을 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광고를 배치한다 하더라도 수많은 유저를 버틸 수 있는 서버 장비와 대역폭이 있을까?
무료 VPN은 내가 인터넷에서 본 암호화되지 않은 정보를 수집하고 판매한다는 실제 보고서가 있다.
안전을 위해 VPN을 사용했더니 오히려 정부, 통신사보다 더 위험한 꼴이다.
필자보다 더 자세히 설명한 블로그(https://netxhack.com/vpn/freevpn-privacy/)를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유료 VPN도 거를 건 거르자.
당신이 VPN을 사용한다면 14 eyes(14개의 눈)을 알아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https://ko.vpnmentor.com/blog/understanding-five-eyes-concept/ 에서 정리를 잘했으니 참고 부탁드린다.
소속된 국가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덴마크, 프랑스, 홀란드, 노르웨이, 독일, 벨기에, 이탈리아, 스웨덴, 스페인이며 여기에 회사를 둔 VPN은 무조건 걸러야 한다.
이들 국가는 대부분 통신 기록을 남기게 법으로 정했는데 어떻게 NO-LOG(기록 X) 정책을 실시하며 당당히 장사할 수 있을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실제로 미국에서 NO-LOG 정책을 내놓고 장사하던 유료 VPN인 PureVPN이 FBI에게 관련 기록을 넘겨서 큰 논란이 된 적 있다.
ExpressVPN의 경우 터키 수사기관에서 협조 요청이 왔으나 결국 터키는 아무것도 받아내지 못했다.
(줄게 있어야 주지..)
용어 정리
-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말 그대로 통신사
- NO LOG
말 그대로 내 활동 기록을 저장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보안을 위해 VPN에 접속하는 것인데 VPN조차 기록을 하면 얼마나 어이가 없는가
- Split Tunneling = 분할 터널링
내가 정해둔 프로그램(앱)만 VPN에 연결하거나 VPN에 연결하지 않겠다는걸 설정하는 것이다.
ExpressVPN이 제일 구현을 잘해두었고 Surfshark 또한 구현이 제대로 되어있다.
NordVPN이 속도는 제일 빠르나 이 부분이 굉장히 미흡하다.
- DNS
(우회를 많이 해본 사람들은 무조건 알고 있다.)
컴퓨터는 IP 주소로 서버의 위치를 찾아 접속한다.
그러나 naver.com, google.com과 같은 도메인들은 IP 주소가 아니다.
DNS는 이 도메인들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로 설정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통신사 DNS가 기본으로 잡혀있다.)
그래서 네이버에 접속하게 되면 이 DNS 서버에 naver.com에 할당된 IP주소가 무엇이냐고 질문하게 되는데 질문을 할 때 기록을 언제든지 남길 수 있다는 걸 조심하자. 보통 유명한 VPN들은 VPN에 연결할 때 자사의 NO LOG DNS 서버로 연결시킨다.
필자가 추천하는 VPN
필자는 직접 사용해보고 추천한다.
기록을 남길 필요가 없는 나라에 회사가 있는 VPN이기도 하다.
- NordVPN: 파나마에 위치한 회사. 아시아권(한국 포함) 서버 속도가 제일 빠름. 저렴하고 동시 6대 기기 연결 가능함. 50만 유튜버도 홍보하고 있다.
- ExpressVPN: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위치한 회사. 중상위권 속도를 자랑한다. 분할 터널링이 잘 돼있음. 동시 5대 기기 연결 가능함.
- Surfshark: 회사가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위치하면서도 제일 저렴하다. 아시아권 속도가 나쁘지 않으며 동시 무제한 기기 연결이 최대 장점이다. 분할 터널링도 ExpressVPN급.
참, NordVPN에 아시아권 서버 속도가 제일 빠름이라고 적었는데 우리는 가까운 일본 서버나 홍콩, 싱가포르 서버를 쓸 거니까 통틀어서 서버 속도가 제일 빠름에 빨간색 표시했다.
ExpressVPN는 한국 서버에 문제가 많다. 잘될 땐 잘 된다만 안될 땐 진짜 못쓰는 수준. 분할 터널링이 생소한 사람들이 많을 텐데 링크 한번 확인해보자. 진짜 좋은 기능.
잔머리를 굴려보면 Surfshark는 무제한 기기 연결이 가능하다. 실제로 10대 동시 연결을 해봤고 잘된다.
친구와 돈을 나눠 결제하면 절약에 꽤나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각 회사별 속도 측정 결과: https://blog.jiwon.dev/entry/%EC%9C%A0%EB%A3%8C-VPN-%EC%86%8D%EB%8F%84-%EA%B2%B0%EA%B3%BC-%EB%B9%84%EA%B5%90-ExpressVPN-NordVPN
용도별 VPN 추천
위에 필자가 추천하는 VPN과 함께 간략히 장점을 적어봤는데 너무 어지러워서 용도별로 VPN을 다시 추천해보려고 한다.
- 한국 공용 WIFI 보안용: NordVPN
- NordVPN의 한국 서버 ISP는 KT입니다. 거의 모든 한국 서비스 동일하게 이용 가능하면서 빠름. (우회용으로 한국 서버 X)
- 해외에서 한국 서비스 이용을 위한 VPN: NordVPN
- ExpressVPN의 한국 서버 ISP는 해외 업체로 일부 서비스에서 한국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가 있음
- 우회용: NordVPN
- 우회용 + 분할 터널링: ExpressVPN
- 토렌트용: NordVPN (일본 P2P 서버 성능 GOOD)
- 토렌트용 + 분할 터널링: ExpressVPN (P2P 성능 GOOD + 분할 터널링으로 토렌트만 VPN 가능)
- 속도는 느려도 되는데 그냥 저렴한 가격: Surfshark
- Surfshark의 한국 서버 ISP는 EHOST라고 나오는데 못쓸 수준
우리는 속도 때문에 확실히 일본 쪽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NordVPN이 가장 빠른데 분할 터널링이 없어 쓸데없이 모든 앱이 VPN에 걸리는 불상사를 막고 싶다면 당장은 ExpressVPN이 답이다.
'VP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VPN 프로토콜, WireGuard란? OpenVPN과 비교해보자. (0) | 2020.05.02 |
---|---|
CyberGhostVPN 사이버고스트 리뷰, 후기 (6) | 2020.03.15 |
Surfshark 서프샤크 VPN 실제 1달 사용기 (24) | 2020.03.13 |
(2020) ExpressVPN 사용 후기 - 간편하고 유용한 VPN (1) | 2020.02.27 |
[2023] 가격대비 프리미엄급 성능, NordVPN 후기와 추천 (5) | 2020.02.26 |
VPN 분할 터널링이 무엇인가요? 활용법과 사용법 : NordVPN, ExpressVPN, Surfshark (6) | 2020.02.24 |
[2023] 유료 VPN 속도 결과 비교 : ExpressVPN, NordVPN, Hotspot shield (5) | 2020.02.15 |